영주 당일치기(죽령옛길, 인삼박물관, 소수서원) 한국의아름다운길(100선)테마여행

종합뉴스

영주 당일치기(죽령옛길, 인삼박물관, 소수서원) 한국의아름다운길(100선)테마여행

어랑 1 2,881 2019.11.25 11:40

죽령옛길, 희방사옛길, 인삼박물관, 소수서원
산들투어 실크로드투어단 늦가을 여행

 

79484eadba29ae59ec6bfb23e3edfcd3_1574649364_7799.JPG

 

【한국아트뉴스=어랑】삼국사기에 『아달라왕(阿達羅王) 5년(서기158년) 3월에 비로소 죽령길이 열리다』라 했고, 동국여지승람에는 『아달라왕 5년에 죽죽(竹竹)이 죽령길을 개척하고 지쳐서 순사(殉死)했고, 고개마루에는 죽죽을 제사하는 사당(竹竹祠)이 있다고 했다.

 

유구한 역사와 온갖 애환이 굽이굽이 서려있는 죽령은 삼국시대 한동안 고구려의 국경으로 신라와 대치, 삼국의 군사가 뒤엉켜 치고 쫓기고 엎치락 뒤치락 불꽃튀는 격전장이기도 했다. 고구려가 죽령을 차지한 것은 장수왕 말년(서기 470년경) 신라 진흥왕 12년(서기 551년) 왕이 거칠부(居漆夫) 등 여덟장수를 명하여 백제와 함께 고구려를 공략, 죽령이북 열 고을을 탈취했으며, 그 40년뒤인 영양왕 1년(서기 590년) 고구려 명장 온달(溫達)장군이 왕께 자청하여 군사를 이끌고 나가면서 『죽령 이북의 잃은 땅을 회복하지 못하면 돌아오지 않겠다』는 등의 기록(삼국사기)으로 당시 죽령이 얼마나 막중한 요충이었음을 짐작할 만하다.

 

서기 1910년대까지도 경상도 동북지방 여러고을이 서울 왕래에 모두 이길을 이용했기에, 청운의 뜻을 품은 과거선비, 공무를 띈 관원들이며, 온갖 물산을 유통하는 장사꾼들로 사시장철 번잡했던 이 고갯길에는 길손들의 숙식을 위한 객점, 마방들이 목목이 늘어 있었다고 한다

 

죽령(竹嶺)옛길은 장장 2천년의 유구한 세월에 걸쳐 우리나라 동남지역 교통 대동맥의 한 토막이었던 길입니다. 이 길은 교통수단의 발달로 이곳을 이용하는 사람이 끊겨 수십년 동안 숲과 덩굴에 묻혀 있었다.

 

역사의 애환을 간직하며 2천년 가까운 세월, 영남 내륙을 이어온 죽령의 옛 자취를 되살려 보존하려는 뜻에서 1999년 영주시가 희방사역에서 죽령주막까지 1시간 정도(2.5km)걸리는 길을 복원하였습니다. 울창한 숲의 나무과 산새, 다람쥐 등이 반기는 산길을 걸으며 선인들의 발자취를 느껴볼 수 있을것이다.


79484eadba29ae59ec6bfb23e3edfcd3_1574649364_9893.JPG

 

죽령 옛길
3자락은 옛 서민들의 애환 서린 전설이 흐르고 있는 길이다.
예로부터 죽령을 '아흔아홉 굽이에 내리막 30리 오르막 30리'리고 했다.
한양과 경상도를 잇는 최단 경로인 탓에 사람들은 힘들어도 이 험한 고개를 넘었다.
그래서 이 곳은 1910년대까지만 해도 사시사칠 번잡했다.
청운의 꿈을 품고 과거를 보기 위해 상경하는 센비, 히리품에 짚신을 차고 봇짐과 행상을 지고
힘들게 걷는 보부상, 고을에 부임하는 관리 등 다양한 사람들이 걸음을 재촉하며
숨 가쁘게 걸었던 천년 역사가 살아 숨 쉬는 죽령 명승길이다. (멍승 30호)


79484eadba29ae59ec6bfb23e3edfcd3_1574649365_1754.JPG


79484eadba29ae59ec6bfb23e3edfcd3_1574649365_3399.JPG


79484eadba29ae59ec6bfb23e3edfcd3_1574649365_5471.JPG


79484eadba29ae59ec6bfb23e3edfcd3_1574649365_7149.JPG

 

풍기 인삼박물관

‘풍기 인삼축제’와 함께 들리면 좋을만한 곳


79484eadba29ae59ec6bfb23e3edfcd3_1574649365_9095.JPG

 

인삼과 삼뿌리를 상징적으로 표현한 ‘인삼박물관’의 외관

 

한국 인삼의 시작, 풍기인삼

 


 

인삼향 그윽한 축제장에 들리기 전, 아이들과 함께 미리 인삼의 역사를 이해하고 체험할 수 있는 ‘인삼박물관’을 찾아 간다.
해설사의 말에 의하면 지금으로부터 약 500 여년 전, 풍기는 자생삼 주산지로 나라에 산삼을 공물로 바쳐야 했던 곳인데요. 산삼 채취량보다 점점 공납량이 늘어나게 되면서, 당시 백성들은 많은 고충을 겪었다고 한다.
풍기군수로 계셨던 주세붕(우리나라 최초의 서원을 세워 성리학의 발전에 크게 공헌하신 분) 선생님께서 더 많은 삼을 채취하기 위해 풍기의 토양과 기후를 조사하셨는데요. 그 결과 풍기 지역이 산삼 생육에 아주 적합한 환경임을 알게 되었다고 한다.
이에 주세붕 선생님께서는 산삼 종자를 채취하여 농가에서 재배토록 하였고, 마침내 풍기에서 우리나라 최초로 인삼재배를 시작하게 되었다.

‘죽령옛길’을 재현한 공간
인삼박물관, 삼국시대부터 영남 사람들의 주요 교통도로였던 ‘죽령옛길’을 재현한 공간이다.

 

소백산 산길을 따라 이동하며, 주세붕의 인삼이야기와 소백산 동삼전설, 조선 시대 무역상인 이야기를 애니메이션으로 감상할 수 있어 어른들 뿐 아니라 아이들도 무척 재미있어 했다.
인삼 무역에 중요한 교역로이기도 했던 ‘죽령옛길’은 신작로가 생기고 중앙선 철로가 놓이면서 인적이 줄어 심마니들이나 약초꾼들만이 오르내리게 되었고, 현재는 등산객과 여행자들이 즐겨 찾는 곳이다.
죽령옛길을 지나 2층에 오르면, 바닥에는 인삼의 생육 시기별 모형전시물이 전시되어 인삼의 생육과정을 단계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데, 이곳에서부터 본격적으로 인삼의 종류에 대한 소개가 시작된다고 볼 수 있다.

 

인삼의 성장 과정 뿐 아니라, 종류와 효능 등 풍기인삼의 우수성을 디오라마와 함께 알 수 있다.
풍기인삼의 역사와 선인들의 지혜를 알 수 있는 자료와 유물들이 다 모여 있는 ‘풍기 인삼박물관’. 온 가족이 다함께 체험할 수 있는 교육의 장이었다.
인삼박물관 안내 - 홈페이지 : http://insam.yeongju.go.kr/rb/?r=home
- 주소 :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 죽령로 1378 (창락리 452)


79484eadba29ae59ec6bfb23e3edfcd3_1574649366_1017.JPG


 

79484eadba29ae59ec6bfb23e3edfcd3_1574649366_3244.JPG

 

경북 영주 죽령옛길 소수서원 영주선비촌으로

한국의아름다운길(100선)테마여행 12번째로 탐방

 

 

경북 영주 죽령옛길 소수어원 영주선비촌으로 한국의아름다운길(100선)테마여행 12번째로 탐방을 다녀왔다.

이번 행사는 한국 최초의 서원으로 퇴계 이황이 수학했던 소수서원, 인삼박물관 죽령옛길등을 거닐며 천년역이야기 등을 돌아보는 일정으로 진행됐다. 참가자들은 책에서 말로만 듣던 세계문화유산을 둘러보며 문화재에 얽힌 이야기를 현장에서 직접 보고 배우는 기회를 가졌다.
실크로드투어단  국내투어는 매월 네번째 토요일에 진행된다. 다음달에는 남한성성길로 출발하기로했다

한편 류호근 자문위원은 “늦은 나이에 실크로드(비단길)에 참여하는 탐방을 통해 우리문화유산의 소중함을 배우는 계기되었다고 했다”고 말했다.


79484eadba29ae59ec6bfb23e3edfcd3_1574649366_5286.JPG

 

[사진 더보기]

영주 당일치기(죽령옛길, 인삼박물관, 소수서원)여행...한국의아름다운길(100선)테마여행
http://blog.daum.net/ptask/299 

Comments

어랑 2019.11.25 11:42
영주 당일치기(죽령옛길, 인삼박물관, 소수서원)여행...한국의아름다운길(100선)테마여행
http://blog.daum.net/ptask/299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70 아름다운 캐나다 록키 벤프 줄리아리 캐나다 지부장 추대 댓글+2 줄리아리캐나다지부장 2022.08.31 1765
69 일상으로의 회복, 아름다운 동행을 꿈꾸다. 부천지부 단합대회 개최 댓글+1 어랑 2022.07.14 1745
68 제1회 개심사 청벚꽃예술제가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든솔 2022.04.25 2251
67 한국여행사진작가협회 예술교육대학 사진기초과정 2022년 2월24일 개강식 어랑 2022.02.25 2181
66 화성 이용곽 여행작가 함봉산 여행이야기族 루카스박갤러리 오프닝 열렸다. 댓글+1 어랑 2022.02.02 2393
65 제8회 인천관광사진전&인천168보물섬사진전' 열린다. 루카스박갤러리 댓글+1 어랑 2021.12.29 2377
64 한국여행사진작가협회 서산지부 창립 맹은재 지부장 선출 댓글+1 어랑 2021.12.24 2889
63 한국여행사진작가협회 2021 작가등단식, 이충기 인천지역본부장 김미정 인천지역본부 사무국장 선출 댓글+2 최고관리자 2021.12.19 2592
62 드론 이야기 댓글+2 인식 2021.12.14 2524
61 한국여행사진작가협회 정기 회원전(3차) 12월12일 오프닝 개최 어랑 2021.12.13 2677
60 달마고도(달마산) 한국의아름다운길(31)실크로드 어랑 2021.12.02 2577
59 한국여행사진작가협회 여행.사진아카데미 8기 수료생들이 사진전 개최 어랑 2021.11.29 2555
58 한국여행사진작가협회 평생학습원 7기생 세븐포토 단체전 개최 댓글+2 씨엔블루 2021.11.16 2560
57 장수동 은행나무의 천연기념물 제562호, 가을이 다 지기 전 장수동은행나무에게 한 번 찾아가기를~. 어랑 2021.11.07 2596
56 두타산협곡 베틀바위 마천루 울긋불긋 물든 단풍길이 불타고 있습니다. 어랑 2021.11.03 2618
55 설악산 울긋불긋 물든 단풍, 시원한 폭포수와 바위 도화지에 단풍 채색 ‘한 폭의 산수화’ 어랑 2021.10.27 2542
54 명성산 억새에 가을감성 등룡폭포와 단풍 물결, 산정호수에서 빛난다 어랑 2021.10.27 2674
53 ‘2021 봄날의 향기’ 봄꽃사진전 개최. 한국여행사진작가협회 회원, 여행사진아카데미 수강생들이 찍은 다양한… 댓글+2 어랑 2021.05.04 2641
52 한국여행사진작가협회 2020 작가워크숍 루카스박갤러리에서 개최 어랑 2020.12.07 2705
51 문갑도, 신이내린선물 문갑8경, 문갑도 여행지도 완성 어랑 2020.11.04 2943
50 든솔 이충기 습지의여명 6년여간의 기다림속에 사진전 개최하다. 댓글+1 어랑 2020.10.06 2799
49 장화리 일몰조망지와 강화 바다사나이 대섬 낚시꾼을 만나서 어랑 2020.08.24 2831
48 『소야9경 나들이』 소야도 떼뿌루해수욕장 여행작가 사진작가 2020 수련회 개최 댓글+1 어랑 2020.08.09 3024
47 호국 보훈정신 선양을 위한『국가보훈대상자 장수사진 촬영』 7월13일~16일, 한국여행사진작가협회 어랑 2020.07.16 2808
46 작품 연구반의 첫번째 작품발표 전시회, 루카스박갤러리 개최 댓글+1 든솔 2020.05.28 2975
45 어랑 작가와 떠나는 자연이 빚은 '화석박물관' 백령대청지질공원 [백령도 대청도 소청도]사진여행 댓글+2 어랑 2020.05.07 2960
44 의외로 잘 주는 유부녀 많습니다 이조운 2023.07.02 1402
43 세계에서도 희귀한, 내륙 깊숙히 펼쳐져 있는 시흥갯골생태공원 어랑 2020.04.12 2913
42 여수 ‘금오도 비렁길 따라 ’, ‘안도’ 기행 "동고지마을" 산들투어 최고관리자 2020.03.27 3073
41 [서산기행] 날개산 정상 고유제, 날개산 둘레길 산들투어 창립27주년기념 시사제 시산제 성대히 열렸다 댓글+1 최고관리자 2020.03.26 2900
40 봄을 알리는 구봉도 '노루귀' 지금 막 시작한다. 댓글+1 어랑 2020.03.08 2915
39 서산기행 날개산 둘레길 해인미술관 댓글+1 어랑 2020.02.28 2847
38 동해안 해파랑길 41코스 (주문진-남해항-죽도정) 12 km 봄바람 마중 도보여행 댓글+1 어랑 2020.02.23 3127
37 어랑 김주호 카메라로 기록한 인천섬…보물섬168관광사진전 댓글+1 최고관리자 2020.02.14 2930
36 한국여행사진작가협회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인천총동문회 자매결연식 댓글+1 어랑 2020.02.07 2988
35 한국여행사진작가협회 본점 개소식! 루카스 박 갤러리 개관식 성대히 열었다. 댓글+3 어랑 2020.01.17 2846
34 한국여행사진작가협회 26차 산들여행문학대전 2019 송년회, 박수복 화백 자문위원 추대 댓글+3 어랑 2019.12.20 2982
33 대룡해운, 평택항-용안항(영성시) 대룡훼리 운항기념, 한국여행사진작가협회 초청 팸투어 댓글+21 어랑 2019.12.17 3292
32 홍성 천년의 역사와 함께하는 "홍주성 천년 여행길" 팸투어 성료 댓글+5 어랑 2019.12.09 2840
31 한국여행사진작가협회 회원, 진도군 초청, 진도 팸투어 성료 댓글+25 어랑 2019.12.02 3174
Category
032-466-8119
월-금 : 9:00 ~ 18:00, 토/일/공휴일 휴무
점심 : 12:00 ~ 13:00










State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